-
[ 목차 ]
올해 8월 15일은 대한민국이 광복을 맞이한 지 80년이 되는 역사적인 해입니다. 광복절은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나 우리 민족이 독립을 되찾은 날로, 그 의미와 상징성은 세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80주년은 단순한 기념을 넘어, 독립운동의 정신을 재조명하고 현재의 대한민국을 만든 국민 모두의 발자취를 되새기는 중요한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광복80주년 전야제 개최
문화체육관광부는 8월 14일 저녁 8시, 경복궁 흥례문광장에서 광복 80년 전야제 우리는 빛이다를 개최합니다. 이번 전야제의 주제인 우리는 빛이다는 지난 80년 동안 대한민국을 만들어 온 국민 모두가 그 자체로 빛이었다는 의미와, 앞으로 다가올 80년 또한 함께 밝혀가자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행사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공연들로 구성됩니다.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는 케이팝 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TXT), 대중적인 인기를 누리는 댄스 크루 범접, 가수 인순이, 프로미스나인, 하이키 등이 무대에 오르며, 젊은 세대와 기성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와 함께 국립무용단, 국립합창단, 서도밴드, 서울예술단, 역사어린이합창단, 하모나이즈 등 국내 정상급 예술단체가 국악, 뮤지컬, 합창, 전통예술 무대를 펼쳐 문화적 깊이와 예술성을 더합니다.
또한, 이번 전야제는 첨단기술을 적극 활용해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인공지능(AI) 기반의 무대 연출과 미디어파사드가 결합해 역사 속 장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관람객은 전통과 기술이 만나 만들어내는 색다른 감동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참석 신청은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가능하며, 8월 7일까지 문화체육관광부 또는 광복 8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누리집에서 동반 1인까지 사전 신청을 받습니다.
신청자가 많을 경우 추첨을 통해 초청자를 선정하며, 결과는 8월 9일 개별 문자로 발송됩니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서로의 존재를 빛으로 느끼고 문화로 연결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 국민들의 참여를 당부했습니다.
광복80주년 전야제 역사와 기술이 만난 무대
8월 14일 오후 8시 15분에는 국회 중앙 잔디광장에서 또 하나의 특별한 전야제가 펼쳐집니다. 대한이 살았다 라는 제목의 이번 행사는 국회, 국가보훈부, 광복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첫 공식 전야제로, 그 자체로 역사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이번 전야제는 탁현민 국회의장 행사기획자문관이 총괄 기획을 맡았습니다. 그는 독립운동의 역사와 광복의 의미를 되새기고, 민주주의를 지켜온 국민들의 노력에 감사를 전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고 설명했습니다.
광복80년 전야제 대한이 살았다 인스타그램 공식 홈페이지
대한이 살았다! 라는 제목에는 외세에 맞서 싸운 민초들의 투혼을 기억하고,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그 정신을 이어가야 한다는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무대 연출은 국회의사당 건물을 배경으로 한 대규모 미디어 파사드와 드론 쇼로 꾸며집니다. 이를 통해 독립운동의 주요 장면과 대한민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순간이 시각적으로 재현되며, 관람객은 역사와 기술이 결합한 압도적인 몰입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전야제 시작 전에는 국회 경내에 조성된 독립기억광장의 제막식이 진행됩니다. 이 공간은 이름 없이 조국을 위해 헌신한 무명의 독립유공자들을 기리는 상징적인 장소로, 광복 80주년에 맞춰 국민들에게 공개됩니다.
광복80주년 전야제 세대를 아우르는 출연진 및 참여 방법
대한이 살았다! 전야제의 공연 라인업은 세대와 장르를 초월합니다. 강산에, 거미, 다이나믹 듀오, 매드클라운, 메이트리X김형석, 10CM, VIVIZ(비비지), 알리, 크라잉넛, 폴킴, 그리고 PSY(싸이)가 무대에 오릅니다. 록, 발라드, 힙합, 아카펠라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한자리에 모여, 광복의 밤을 뜨겁게 달굴 예정입니다. 각 아티스트는 광복의 의미를 담아 특별히 준비한 무대를 선보이며, 관객에게 음악과 함께 감동을 전합니다.
참여를 원하는 국민은 8월 7일 오후 8시 15분부터 네이버 예매를 통해 모바일 사전 입장권을 신청하면 됩니다. 무료 예매이지만 좌석이 한정되어 있어 빠른 신청이 필요합니다. 예매가 완료되면 행사 당일 현장에서 모바일 입장권을 제시해 입장할 수 있습니다.
경복궁 흥례문광장의 전통미와 국회 중앙 잔디광장의 현대적 상징성이 함께하는 이번 두 전야제는, 서로 다른 공간과 연출을 통해 하나의 메시지를 전합니다. 그것은 바로 광복의 기억을 잊지 않고 미래로 이어가자는 것입니다. 올해 광복절 전야제는 단순한 축제가 아닌, 세대와 세대를 잇고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는 역사적 현장이 될 것입니다.